FIFA, 북중미서도 4팀 1조 월드컵…환경·피로 문제엔 '물음표'

뉴스포럼

FIFA, 북중미서도 4팀 1조 월드컵…환경·피로 문제엔 '물음표'

빅스포츠 0 1,323 2023.03.15 16:30

카타르보다 40경기↑…"'확대 기조'는 지속가능성 목표와 배치"

선수협도 즉각 반발…"대회 확대는 일정 더 빡빡해진다는 뜻"

FIFA 로고가 그려진 축구공
FIFA 로고가 그려진 축구공

[로이터=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국제축구연맹(FIFA)이 '스포츠의 재미'를 강조하며 2026 북중미 월드컵 규모를 확장한 가운데 선수 피로와 환경을 둘러싸고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FIFA는 14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처음으로 48개국이 출전하는 다음 월드컵에서 4팀씩 12조로 묶어 조별리그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총 80경기를 치르는 '3팀 16조' 안에서 변화를 준 것인데, 경기 수도 104경기로 늘었다.

이는 초대인 1930 월드컵을 비롯해 1934, 1938, 1950, 1954 대회까지 1∼5대 대회를 합친 101경기보다 많다.

직전 카타르 월드컵의 64경기에 비하면 40경기가 늘었다.

특히 다음 대회의 경우, 경기 수가 늘면 환경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규모가 워낙 커 선수단·팬 모두가 탄소 배출량이 많은 비행기로 이동해야 할 상황이 잦아지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기도보다 조금 넓은 수준인 카타르와 달리 북중미 월드컵은 역대 최고의 '슈퍼 사이즈' 대회다.

국토 총면적 순위에서 세계 2위 캐나다, 3위 미국, 13위 멕시코가 공동 개최국이다.

미국 11곳, 캐나다 2곳, 멕시코 3곳까지 총 16개 도시의 16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영국 BBC에 따르면 기존 '3팀 1조' 안이 '4팀 1조' 안으로 바뀌면 탄소 배출량이 최대 25%까지 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대회 개최국 카타르 측은 경기장끼리 인접해 비행기를 쓸 필요가 없어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는 월드컵이 될 것이라 선전했었다.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주장에도 서방 전문가들이 대회 중 발생한 탄소 추정치를 들어 반박을 쏟아낸 터라, FIFA로서도 다음 대회를 앞두고 '탄소 문제'는 간과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초 BBC는 FIFA 수뇌부가 3팀 1조안을 뒤엎는 쪽으로 기울었는데도, 이런 환경상 악영향이 막판 변수로 떠올라 내부 논의가 이어졌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탄소 절감은 FIFA가 전면에 내건 가치이자 목표다.

2016년 유엔 스포츠 기후 행동 협정에 처음으로 가입한 기구라는 게 FIFA의 선전 포인트 중 하나다.

이 협정은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설정한 목표를 스포츠 분야에서도 달성하려 유엔이 출범한 이니셔티브다.

2021년 FIFA가 낸 '기후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2026 월드컵 유치 입찰을 받은 2018년에도 후보지들의 환경 보호 프로그램을 주의 깊게 살폈다고 한다.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이 보고서에서 "기후 변화는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시대의 가장 큰 도전이다. 즉각적이고 지속 가능한 조치를 요구한다"며 "FIFA는 '기후 중립'에 이르기까지 적극 관여해 기후 행동의 리더십이 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영국 러프러버대 소속 스포츠 기후학 연구자인 마들렌 오어는 지난달 BBC에 "FIFA의 확장 기조가 목표로 표방한 지속가능성과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 작은 규모로, 더 작은 경기장에서, 더 적은 팬들만 받아서 대회를 치르는 안도 고려해야 봐야 한다"고 짚었다.

2018년 FIFA 총회에서 2026 월드컵 개최지로 결정되자 기뻐하는 북중미 3국 대표단
2018년 FIFA 총회에서 2026 월드컵 개최지로 결정되자 기뻐하는 북중미 3국 대표단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FIFA의 확장 일변도에 '선수 피로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FIFA는 2026 월드컵 경기 수를 늘리더라도 전체 대회 일정은 이전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개막 전 각국 대표팀이 선수들을 소집하는 기간부터 결승전까지 '총 일정'을 기존 32팀 체제 대회와 비슷한 56일로 맞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경기 수가 증가한 만큼 대회 자체 기간이 늘어난 반대급부로 개막 전 23일간 주어진 소집·훈련 기간을 1주일 정도 줄인다는 계획이다.

'월드컵 기간'을 휴식, 훈련, 경기가 모두 포함된 광범한 개념으로 해석하면 2010, 2014, 2018년 등 최근 32팀 체제로 펼쳐진 대회와 일정상 큰 차이가 없다고 FIFA는 주장한다.

선수 측은 즉각 반발했다.

요나스 베어호프만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 사무총장은 "현재 진행 중인 연구를 보면 선수들에게 과도한 부담이 쏠린다는 증거가 있다"며 "선수들은 이제 경기 일정이 지속 가능한 방식이 아니며,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걸 깨달았다"고 비판했다.

잉글랜드프로축구선수협회(PFA)의 마헤타 몰랑고 회장도 "2026 월드컵의 확대는 곧 이미 빡빡한 일정에 더 많은 경기를 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반발했다.

이런 비판 속에도 FIFA로서는 경기 수가 늘어 중계권 등에서 더 큰 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FIFA 수입의 90%가 월드컵에서 나온다.

지난해 11월 FIFA는 중계권 및 스폰서 계약 등으로 지난 4년간 카타르 월드컵 관련 수익이 75억달러(약 9조7천750억원)로, 2018년 러시아 대회보다 11억달러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FIFA 로고
FIFA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email protected]

Comments

번호   제목
35594 도루왕 출신 안현민, 왜 안 뛸까…"지금은 조심해야 할 때" 야구 12:21 3
35593 배구연맹, 패션 브랜드 LAP과 협업 상품 출시 농구&배구 12:21 3
35592 K리그1 서울, 23일부터 바르셀로나전 스페셜 매치 팝업스토어 축구 12:21 2
35591 MLB 올스타전 시청률, 역대 두 번째 최저 기록…718만명 시청 야구 12:21 3
35590 2007년생 수원 공격수 박승수, EPL 뉴캐슬 이적할 듯 축구 12:21 4
35589 골프장 라커 훼손한 클라크에 출입금지…"분노 조절 치료받아라" 골프 12:21 3
35588 몬테네그로 프로축구팀, 승부조작으로 UEFA 대회 10년 출전금지 축구 12:21 2
35587 올해 디오픈에서 벙커 정리 전담 인력제 폐지 골프 12:21 3
35586 홍원기 전 키움 감독, SNS로 작별 인사 "멀리서 지켜보겠다" 야구 12:20 3
35585 남자배구 이우진, 신인 드래프트 참가 가닥…윤경은 불참에 무게 농구&배구 12:20 3
35584 NBA 브래들리 빌, 피닉스와 계약 해지…클리퍼스 간다 농구&배구 12:20 1
35583 "내 골프장에서 디오픈 열어라" 트럼프 요구에 R&A 난색 골프 12:20 1
35582 '손흥민 협박 일당' 재판 시작…가해 여성 "혐의 일부 부인" 축구 12:20 2
35581 '1군 경쟁력 확인' SSG 전영준 "무조건 막는다는 신뢰 얻고파" 야구 12:20 2
35580 KLPGA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 총상금 15억원…1억원 증액 골프 12:20 2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