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영호 기자 = 2024-2025시즌 프랑스 프로축구 리그원 파리 생제르맹(PSG)의 트레블(정규리그·프랑스컵·UCL 우승) 달성에 혁혁한 공을 세운 공격수 우스만 뎀벨레(28·프랑스)가 유럽 무대를 가장 빛낸 선수로 우뚝 섰다.
뎀벨레는 23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의 샤틀레 극장에서 열린 2025 발롱도르 시상식에서 남자 선수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프랑스 출신 선수가 발롱도르를 수상한 것은 역대 6번째로, 21세기 들어서는 2022년 카림 벤제마(알이티하드) 이후 두 번째다.
지난 시즌 PSG에서 53경기를 뛰는 동안 35골 14도움을 작성한 뎀벨레는 소속팀이 리그1은 물론 프랑스컵(쿠프 드 프랑스)과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정상에 오르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PSG가 슈퍼컵(트로페 데 샹피옹)까지 우승하면서 뎀벨레는 지난 시즌 4개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최전방 공격수와 오른쪽 날개로 뛰는 뎀벨레는 지난 시즌 리그1 공동 득점왕(21골)을 차지했고 리그1과 UCL의 '올해의 선수'를 휩쓴 끝에 발롱도르 '남자 선수 부문'에서 유력한 경쟁자로 떠오른 라민 야말(바르셀로나)과 팀 동료 비티냐를 제치고 생애 첫 발롱도르 수상의 기쁨을 만끽했다.
1997년 5월생인 뎀벨레는 2014년 9월 프랑스 리그1 스타드 렌에서 1군 무대에 데뷔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15-2016시즌 공식전 29경기에 나서 12골을 터트리며 '올해의 영플레이어'로 뽑혔다.
이를 바탕으로 뎀벨레는 2016년 5월 독일 분데스리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해 첫 시즌 공식전 49경기를 뛰며 10골을 넣었고 이듬해 8월 '스페인 명가' 바르셀로나 유니폼으로 갈아입었다.
바르셀로나에서 6시즌을 보내면서 공식전 185경기에서 40골을 넣은 뎀벨레는 2023년 8월 5천40만유로(약 826억원)의 이적료로 PSG 유니폼으로 갈아입었다.
2023-2024 리그원 무대에서 3골밖에 넣지 못한 뎀벨레는 2024-2025시즌 발끝이 폭발하며 정규리그에서 21골을 기록, 메이슨 그린우드(마르세유)와 공동 득점왕을 차지했다.
지난 시즌 PSG 유니폼을 입고 4개의 우승 트로피를 번쩍 든 뎀벨레는 마침내 2025 발롱도르 남자 선수 부문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햄스트링 부상으로 이날 치러진 소속팀의 경기에 빠지고 발롱도르 시상식에 참석한 뎀벨레는 기쁨에 겨워 왈칵 눈물을 쏟아냈다.
생애 첫 발롱도르 트로피를 받은 뎀벨레는 "정말 특별한 경험이다. PSG에서 겪은 일을 모두 말로 담을 수는 없다"며 "축구 레전드인 호나우지뉴에게 직접 트로피를 받다니 정말 믿을 수 없다"고 눈물을 훔쳤다.
그는 "2023년 나를 영입해준 PSG에 감사드린다. PSG의 나세르 알 켈라이피 회장은 아버지와 같은 분이다"면서 "이 트로피는 PSG 구성원 전체가 이룬 업적"이라고 강조했다.
뎀벨레와 '남자 선수' 부문에서 경쟁한 야말은 2년 연속 '코파 트로피'의 주인공이 됐다.
코파 트로피는 21세 이하 선수 가운데 가장 뛰어난 실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올해 18살인 야말은 지난 시즌 바르셀로나에서 공식전 55경기에서 18골을 터트리며 팀의 더블(정규리그·국왕컵) 달성에 공을 세웠다.
지난 시즌 PSG의 트레블 달성을 지휘한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감독상인 '요한 크라위프 트로피'를 들어 올린 가운데 최근 맨체스터 시티(잉글랜드)로 이적한 골키퍼 잔루이지 돈나룸마는 지난 시즌 PSG에서 펼친 활약을 바탕으로 최고의 골키퍼에게 주는 '야신 트로피'를 차지했다.
또 남자 부문 최다 득점자에게 수여하는 '게르트 뮐러 트로피'는 빅토르 요케레스(아스널)가 받았다.
요케레스는 지난 시즌 스포르팅(포르투갈)에서 뛰면서 공식전 52경기에서 54골을 넣었고 스웨덴 대표팀에서도 6경기를 치르며 9골을 몰아쳤다.
발롱도르 여자 선수 부문은 아이타나 본마티(바르셀로나)가 3년 연속 석권했다.
여자 선수 부문에서 3년 연속 수상은 본마티가 역대 처음이다.
본마티는 지난 시즌 공식전 44경기를 뛰며 15골을 넣었고, 2024-2025 여자 UCL에서도 11경기에 출전해 4골 5도움을 달성하며 최우수선수로 뽑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