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우진 "일본 투수, 빠르고 제구도 되더라…난 제구에 더 집중"

뉴스포럼

안우진 "일본 투수, 빠르고 제구도 되더라…난 제구에 더 집중"

빅스포츠 0 1,036 2023.03.24 07:07

"빠른 공 던지면 유리하지만, 제구 안 되면 무용지물"

키움 파이이볼러 안우진
키움 파이이볼러 안우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2023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우승을 차지한 일본 대표팀 투수들을 보며 많은 한국 야구인이 '구속'에 놀랐다.

하지만 이미 시속 160㎞에 육박하는 빠른 공을 던지는 안우진(키움 히어로즈)의 눈에는 더 세밀한 부분이 보였다.

23일 서울시 구로구 고척 스카이돔에서 만난 안우진은 "일본 투수들의 제구력에 놀랐다. 빠른 공을 던지는 데 제구까지 뛰어나니 WBC에서 우승을 차지하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지난 22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론디포 파크에서 열린 2023 WBC 결승전, 미국과의 경기에 등판한 일본 투수 7명은 모두 최고 시속 150㎞ 이상의 빠른 공을 던졌다.

구속이 가장 느린 도고 쇼세이(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시속 92.4마일(약 149㎞)이었다.

베이스볼서번트가 측정한 결승전 일본 투수들의 패스트볼 구속은 한국 야구의 시선에서는 놀라운 수준이었다.

이마나가 쇼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최고 시속 152㎞(평균 150㎞), 도고가 최고 150㎞(평균 149㎞), 다카하시 히로토(주니치 드래건스)가 최고 156㎞(평균 155㎞), 이토 히로미(닛폰햄 파이터스)가 최고 151㎞(평균 152㎞), 오타 다이세이(요미우리)가 최고 154㎞(평균 152㎞), 다루빗슈 유(샌디에이고 파드리스)가 최고 152㎞(평균 151㎞), 오타니 쇼헤이(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가 최고 164㎞(평균 160㎞)를 각각 찍었다.

일본에서는 '시속 150㎞'가 더는 특별한 구속이 아니라는 걸 일본 투수들이 WBC에서 직접 증명했다.

반면 한국 대표팀 투수들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시속 146∼147㎞ 수준이었다.

역투하는 키움 선발 투수 안우진
역투하는 키움 선발 투수 안우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현재 한국에서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는 안우진이다.

WBC 대표팀에 발탁되지는 못했지만, 안우진은 WBC 기간과 겹치는 시범경기에서 이미 시속 158㎞를 찍었다. 평균 구속도 시속 153㎞다.

어쩌면 한국 야구의 새로운 화두가 된 '구속을 키우는 방법'을 가장 잘 아는 선수가 안우진일 수 있다.

그러나 안우진은 "나는 신체적인 이점이 있긴 하다. 야구를 시작할 때부터 또래보다 빠른 공을 던졌다"면서 "어느 날 갑자기 구속이 확 올라오진 않았다. 완만하게, 꾸준히 구속이 올랐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꾸준하게 하고, 캐치볼을 할 때도 공을 세게 던지는 습관 등이 구속 향상에 도움이 됐다. 구속이 오르는 방법을 명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다. 개인적인 차이도 클 것"이라며 해답을 내놓지는 않았다.

대신 안우진은 "여전히 나는 구속보다 중요한 게 제구라고 생각한다. 흔한 말이지만, 아무리 빠른 공을 던져도 스트라이크존에 없으면 무용지물"이라면서 "나도 늘 구속보다 제구를 더 신경 썼다. 지금도 구속과 제구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제구를 택할 것"이라며 '제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물론 안우진도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의 가진 이점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빠르고 정확한 공이 효과가 있다. 이번 WBC에서도 빠른 공이 맞아나가는 걸 봤다"며 "구속만큼이나 정확도도 중요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결국 안우진이 원하는 건 '빠르고 정확한 공'이다.

이미 세계 정상급의 구속을 갖춘 안우진이라면 제구로 얻을 효과는 더 커질 수 있다.

[email protected]

Comments

번호   제목
673 김시우, 호블란 꺾고 WGC 매치플레이 2연승…'16강 보인다'(종합) 골프 2023.03.24 527
672 UEFA, FC바르셀로나 '심판 매수' 혐의 조사한다 축구 2023.03.24 873
671 [게시판] 렉서스코리아, 이소미 등 프로골퍼 4명 홍보대사 선정 골프 2023.03.24 562
670 울산 공격수 마틴 아담, 헝가리 국가대표 데뷔골…친선전 결승포 축구 2023.03.24 901
669 호날두, A매치 최다 출전·득점 신기록…케인은 잉글랜드 최다골 축구 2023.03.24 874
668 KPGA 구단 대항전, 올해는 17개 구단으로 확대…3개 신생팀 합류 골프 2023.03.24 551
667 WBC서 무리했나…41세 웨인라이트, 사타구니 부상으로 이탈 야구 2023.03.24 1067
666 中, 조선족 축구선수도 연행…승부 조작·도박 연루 가능성 축구 2023.03.24 776
665 [여자농구결산] ① '우리 왕조' 재건에 단비…지수 없으니 맥못춘 KB 농구&배구 2023.03.24 436
664 [여자농구결산] ② 최고령 기록 쓰고 떠난 한채진…'챔프전 최다승' 위성우 감독 농구&배구 2023.03.24 455
663 [여자농구결산] ③ 강이슬·김정은·김한별 등 FA '깜짝 이적' 나올까 농구&배구 2023.03.24 450
662 김시우, 호블란 꺾고 WGC 매치플레이 2연승…'16강 보인다' 골프 2023.03.24 585
661 피츠버그 배지환, 시범경기 세 번째 멀티히트…보스턴전 2안타 야구 2023.03.24 1065
660 김하성, 시범경기서 허슬플레이…폭풍 2도루에 태그업 득점까지 야구 2023.03.24 1052
659 노승열·강성훈, PGA 투어 도미니카공화국 대회 1R 공동 26위 골프 2023.03.24 583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