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광주시가 지역 연고 시민구단인 광주FC에 대한 재정 지원을 3년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재정위기에 처한 광주시는 앞으로 3년간 해마다 100억원 이상을 광주FC에 지원할 예정인데, 반복되는 매각 필요성에 대해 광주시는 이번에도 "대안이 없다"며 유보하는 입장을 보였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광주 시민프로축구단 지원 조례'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광주FC 지원 근거를 담은 조례 유효기간이 올해 말 만료됨에 따라 이를 3년 연장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조례 개정안과 함께 내년도 예산안에 광주FC 지원금을 전년 대비 10% 증액한 110억 원가량을 반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FC는 시민의 힘으로 탄생했지만, 실질적으로는 광주시 예산 지원으로 운영돼 왔다.
2010년 창단 직후부터 자본금을 운영비로 소진하면서 불과 3년 만에 자본잠식에 빠졌고, 이후에는 부채를 끌어다 구단을 운영하다가 2016년에는 선수단 임금 체불 사태까지 발생했다.
2020년대 들어서는 광주시 보조금이 100억 원대로 늘었지만 지출 구조 개선이 이뤄지지 않아 K리그 재정건전화 제재 대상에까지 올랐다.
광주시의 재정 지원 조례 연장이나 예산 증액이 논의될 때마다 지역에서는 광주FC 매각설이 회자됐지만, 광주시는 그때마다 "인수할 기업이 없다"며 매각을 보류해 왔다.
올해 재정건전화 규정을 지키지 못해 한국프로축구연맹 징계 위기에 직면했을 때도 지역 기업이 참여하는 '합작 구단' 전환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지만 실제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지원 연장 조례 개정과 예산 증액 과정에서도 광주시는 "인수할 민간 기업을 찾을 수 없고, 주식회사 구단으로 합작 구성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대안 없이 예산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광주시 관계자는 "스포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지원을 약속하며 인수 기업을 물색하고 있지만 광주FC를 인수할 기업을 찾지 못했다"며 "합작 구단 전환도 주식회사 형태의 구단 운영 구조상 명분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광주FC 사례가 우리나라 시민구단이 공통으로 겪는 딜레마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시민구단을 표방했지만 결국 지자체의 재정 지원, 즉 세금에 기댈 수밖에 없으므로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광주시가 재정위기 속에서 자치구와 88억여 원 규모의 복지예산 분담금을 두고 갈등을 벌이는 상황에서 연간 100억원 이상 구단을 지원 할 명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간 매각이 어렵다면 시민구단답게 선수단 예산 축소 등 지출 관리 효율화와 관중 증대 등 수입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는 대안이 제기되지만, 현실적으로 균형점을 찾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해 광주시 측은 "시민구단은 궁극적으로 선수를 키워 매각해 수익을 내는 구조로 갈 수밖에 없다"며 "유망 선수를 매각하면 성적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구단의 지속을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