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L 새 재정 규정 도입…수입의 85%까지만 선수단에 지출

뉴스포럼

EPL 새 재정 규정 도입…수입의 85%까지만 선수단에 지출

빅스포츠 0 3 12:20
안홍석기자 구독 구독중
이전 다음

샐러리캡 유사한 앵커링 제도는 부결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안홍석 기자 = 세계 최고의 프로축구 리그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가 구단 수입에 맞춰 지출을 제한하는 재정 규정을 도입했다.

EPL 사무국은 2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2026-2027시즌부터 시행할 새 재정 규정 시행안이 20개 구단 대표자 회의에서 통과됐다고 밝혔다.

새 재정 규정은 10년 가까이 시행돼온 수익성 및 지속가능성 규정(PSR)을 대체하는 것으로, '수입 대비 지출 제한(SCR)'과 '재정 안전성 점검(SSR)'의 두 제도를 도입하는 게 골자다.

SCR은 구단의 선수단 지출을 축구 관련 수입과 선수 판매 순이익의 85% 아래로 제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단이 벌어들인 돈이 1억 파운드라면 8천500만 파운드까지만 선수단에 쓸 수 있다.

각 구단은 여기에 더해 다년에 걸쳐 30%의 추가 한도를 받는다. 따라서 도입 첫 시즌에 구단이 선수단에 지출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은 수입의 115%다.

SCR은 선수단 급여와 이적료 및 에이전트 수수료 지출을 구단 수입의 70% 아래로 제한하는 유럽축구연맹(UEFA) 재정 규정과 비슷하다.

유럽 클럽대항전에 참가하는 EPL 구단들이 UEFA의 '70% 제한' 규정을 지켜야 하는 건 그대로다. 이를 위반하면 UEFA의 제재를 별도로 받는다.

EPL은 "새 SCR 규정은 모든 구단이 더 큰 성공을 거둘 기회를 촉진하고 리그 재정 체계를 UEFA 규정에 가깝게 맞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EPL 규정 변경에는 20표 중 14표가 필요한데, SCR 도입에는 14개 구단이 찬성표를 던졌고 6개 구단은 반대했다.

규모가 작은 축인 본머스, 브렌트퍼드, 브라이턴, 크리스털 팰리스, 풀럼, 리즈 유나이티드가 반대표를 던졌다고 BBC는 전했다.

구단의 단기, 중기, 장기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SSR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SSR은 정부 주도로 출범한 독립축구규제기관(IFR)의 라이선스 제도와 비슷해 도입돼도 구단들 입장에서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번 대표자 회의에서는 최하위 구단의 수입을 기준으로 각 구단의 지출 상한선을 정하는, 이른바 '앵커링' 도입도 안건으로 올라갔으며 이는 12개 구단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부결됐다. 찬성표는 7표, 기권이 1표였다.

아스널
아스널

[EPA=연합뉴스]

앵커링은 샐러리캡과 비슷한 제도로, 각 구단의 지출 상한액을 꼴찌 구단이 받는 TV 중계권료와 상금의 5배까지로 묶는 것이다.

당초 상위권 구단이라면 이 제도에 모두 반대할 것이라는 전망과 다르게 아스널과 리버풀이 찬성표를 던졌다.

BBC는 "샐러리캡이 레알 마드리드와 같은 (다른 리그의 빅클럽) 구단과 선수 영입 경쟁을 할 때 악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있었다"면서 "또 향후 TV 중계권료 규모가 줄어들면 상한액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고 전했다.

올 시즌까지 적용되는 PSR은 2015-2016시즌 도입됐다. 구단이 3년간 1억500만 파운드(약 2천25억원)까지만 적자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다.

[email protected]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