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일어선 나무' 미스터리 분석

자유게시판

'스스로 일어선 나무' 미스터리 분석

병철김 0 209 2021.01.31 00:56

삼국사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三年夏四月 始祖廟前臥柳自起


[三年夏四月]  4월 여름에 


[始祖廟前]    시조묘 앞에서  


[臥柳自起]    누워있던 버드나무가 스스로 일어섰다



고 합니다. (...)


역사서에 등장하는 비현실적 요소로 치부할 수도 있겠지만


주목할 점은 비슷한 케이스가 제가 찾아본 것만 세 건이나 더 있다는 겁니다. 그것도 현대에 말입니다.




첫 케이스는 96년 홍천에서 벌어졌던 이야기로 mbc '이야기속으로'에도 방영되었던 내용입니다.

51.png \

홍천의 어느 마을에 서있던 버드나무(포플러)


63.png \
여름에 찾아온 태풍에 쓰러져 8개월간 방치됩니다. 


그러다 어느날 쓰러졌던 나무가 번듯이 일어선 상태로 발견된겁니다.

4315.png \

당시 방송에서는 누워있던 상태에서 나무를 잘랐다는 마을사람들의 주장을 다 검증하게되는데요

정말 나무가 쓰러져 있을 때 자른 흔적이라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게 가능한 것인가?..
서울대 임학과 교수님께서 한 가지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겨울 동안 메말라있던 땅과 나무에 봄이 되면서 팽창압이 생겨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지 않았을까라고 추정을 했는데요.

그러나 이론적 설명을 시도는 해봤지만, 상당히 신기한 일이라고 덧붙이셨습니다.








두번째 케이스는 2004년 경북 영덕에서 일어났던 일로 2005년 SBS 모닝와이드에서 방영되었습니다.

17.png \

2004년 태풍 민들레로 인해 쓰러졌던 400kg짜리 밤나무가 2일만에 다시 일어선 겁니다.


당시 방송에서는 경북과학교육원의 자문을 구해서 과학적 분석을 시도하는데요.

13.png \

모의 실험을 통해 만약 쓰러진 반대 방향으로 강한 바람이 분다면 다시 설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일어설 당시의 그 지역 바람의 세기를 기상관측소를 통해 확인해보니 매우 강하게 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산림환경연구소 전문가분께서도 밤나무의 경우엔 목질이 상당히 강해서 뿌리의 탄성이 좋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상당히 신기한 경우라고 덧붙입니다.




세번째 케이스는 2014년 영국에서 일어난 일로 데일리메일 기사로 나온 이야기입니다.

https://www.dailymail.co.uk/news/article-2572323/Mystery-40ft-fir-fell-storms-stands-upright-again.html

article-0-1C0048A600000578-778_634x418.jpg \
2013년 12월 23일 강한 폭풍으로 10톤짜리 전나무가 쓰러지게 되는데요.

한달 정도 더 지나서 다음해 2014년 2월1일 다시 강한 폭풍이 몰아친 후에

다시 멀쩡하게 서 있던겁니다.

article-0-1C0049DC00000578-193_634x424.jpg \
여기서도 현지 전문가가 분석을 하는데요.

나무의 무게와 뿌리, 바람사이에 균형이 잘 맞는다면 불가능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그러나 이 전문가 역시 아마 남들에겐 이런 분석이 이상하게 들릴 것이라고 사족을 덧붙입니다. 





삼국사기 케이스까지 총 네 케이스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신라시대

1996년 홍천

2004년 영덕

2014년 잉글랜드

4

버드나무

3

버드나무과(포플러)

1

8개월 경과

7

밤나무

400kg

2일 경과

바람이 강하게 붐

2

전나무

10

한달 경과

폭풍이 몰아침


삼국사기 케이스는 정보가 워낙 없어서 단서를 찾기가 힘듭니다. 진위파악 불가..


그러나 비교적 최근 케이스인 영덕과 잉글랜드의 경우엔 어느정도 과학적 설명시도가 있었고, 그 설명에는 다시 일어설 당시 바람이 강하게 불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96년 홍천케이스 같은경우엔 방송에서 따로 바람등의 요소에 대한 고려를 하지는 않아서 다소 아쉽지만, 같은 원인이라면 아마 당시에도 강풍이 불었을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8개월이나 경과하고 다시 일어선 것은 매우 신기하긴 합니다.



<정리>

-쓰러졌던 나무가 다시 일어섰다는 내용은 삼국사기 기록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가능성있는 요소들로는 강한 바람, 땅과 나무의 팽창압, 나무의 목질과 뿌리의 탄력성등이 있다.

-이론적 설명은 가능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정이고, 전문가들도 매우 신기한 일이라고 말한다. 



 

유튜브로 보시고 싶으신 분은

youtu.be/deg1N_m-6Jw



+)--------------------------------------------

신라시대 '코끼리'목격담에 대한 분석

https://www.fmkorea.com/3355839919

중세 성의 식수해결 문제

https://www.fmkorea.com/3357451821

16세기 노르웨이 바다괴물 목격담 분석

https://www.fmkorea.com/3358179366




Comments

리그별 팀순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